복지
공공의료 확충
코로나19라는 전례 없는 감염병 확산 시대를 겪으면서, 시민들의 안정적인 건강 복지 서비스 체계 구축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해졌으며, 사각지대 없이 더 촘촘하게 취약계층 위한 공공의료 제공이 필요한 바 서울형 공공병원, 공공재활병원 등 공공의료 확충 사업은 단계적인 인프라 발전과 함께 기존 시립병원의 의료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음

정책 목적

위기가 일상화되는 시대에 취약계층을 더 두텁게 보호하고, 건강권을 더 촘촘히 지키기 위해, 서울형 고품질 공공의료서비스를 구축·강화

정책 개요

서울시 산하 공공병원 현황

병원명

주소

진료과목

어린이병원

서울 서초구 헌릉로 260

장애아·비장애아 전문 진료

서북병원

서울 은평구 갈현로7길 49

결핵 및 감염병, 노인성 질환

은평병원

서울 은평구 백련산로 90

정신질환자 전문 진료

서울의료원

서울 중랑구 신내로 156

종합병원

보라매병원

서울 동작구 보라매로 5길 20

종합병원

동부병원

서울 동대문구 무학로 124

종합병원

북부병원

서울 중랑구 양원역로 38

노인성질환

서남병원

서울 양천구 신정이펜1로 20

종합병원

장애인치과병원

서울 성동구 마장로 207

장애인 구강 전문진료

백암 정신병원

경기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용천로 71번길 30

정신질환자 전문진료

축령 정신병원

경기 남양주시 수동면 외방로 172번길 58

정신질환자 전문진료

고양 정신병원

경기 고양시 덕양구 통일로 1102번길 46

정신질환자 전문진료

세부 내용

│위기 상황에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공공의료 인프라│

서울형 공공병원

- 지역 주민 대상 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하여 동남권 내 종합병원 건립

- 민간 의료자원과 인력을 공유하는 서울위기대응의료센터를 구축하여 상황 시 위기대응컨트롤타워 역할 수행

공공재활병원

- 186병상 규모의 재활병원을 통해 재활 난민 대상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서부장애인치과병원

- 서남권에 추가적인 장애인치과병원을 통해 신체 또는 이동에 제한이 많아 휠체어가 움직일 수 있는 시설이나 의료장비가 갖춰진 치과를 찾기 어려운 장애인 대상 더 안전한 구강 건강관리를 제공

안심호흡기전문센터

- 보라매병원 내 안심호흡기전문센터를 통해 호흡기질환자 진료와 감염병 연구 기능을 수행하고, 고도 음압시설과 감염병 관련 특수 의료장비를 갖춘 음압병상을 확보하여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

│취약계층을 위한 시립병원 기능 강화 및 의료서비스 특화│

(서남병원) 종합병원 기능 강화

- 급성기·노인성질환 대응을 위해 응급의료센터, 통합재활센터 역량 강화
- 복합질환 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강화를 위하여 센터형 외래진료 시스템 구축

(은평병원) 정신건강 의료서비스에 특화된 정신응급 및 중독치료체계 구축

(서북병원) 치매어르신 특화 병원으로 기능 강화를 위해 치매안심병원 지정

- 다학제 전담팀 구성으로 전문 의료서비스 제공 및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

(북부병원) 호스피스, 간호간병서비스 강화를 통한 노인전문 재활요양병원 특화

(동부병원) 취약계층 맞춤형 의료서비스 기능 확대

- 알코올해독센터 확대 등 노숙인 진료 기능 강화 및 투석환자 집중관리

│나눔진료봉사단을 통한 취약계층 대상 공공의료 건강동행 실천│

(봉사개요) 9개 서울시립병원*이 취약계층 대상 무료진료 등 약자의료동행 실천

- 도시 내 재해 등으로 임시거주시설 발생 시 무료 순회 진료를 수행하거나 ­

- 민간의료기관에서 담당하기 어려운 의료취약계층의 질병 예방과 진료, 교육 등 현장 중심의 밀착형 의료지원활동

*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북부병원, 서북병원, 서남병원, 어린이병원, 은평병원, 장애인치과병원

(세부내용) 9개병원이 순차로 한팀을 이루어 진료활동

- 총 4명이 1팀(의사 1, 간호사 2, 행정 1)을 이루어 취약계층 시민 진료

- 진료는 혈압, 당뇨, 산소포화도 측정을 비롯한 간호 상담, 의사 진료, 약 처방에 따른 복약지도 등이 이루어지며,

- 현장에서 발굴된 고위험군 환자, 추가 검사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쪽방상담소 간호사 등 관리자와 소통하여 병원 연계 진료 진행

- 또한, 노숙인은 개인위생 및 건강관리가 어려우며,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무연고 행려자는 특히 의료연계가 어려움에 따라, 서울역 광장에 있는 다시서기 희망지원센터와 연계하여 매월 1회 정기방문 진료함으로써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진료를 수행



시민건강국 │ 보건의료정책과, 공공의료과 │ 대표전화 02-120
관련 정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