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디딤돌소득
디딤돌소득은 기준소득 대비 부족한 가계소득의 절반을 현금으로 채워주는 소득보장제도임. 도움이 필요하지만 기존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취약 가구를 지원하여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꿈꾸고 도전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복지 모델을 만들고자 함.

정책 도입 배경 및 목적

도시 내 저소득 가구의 72.8%는 복지 혜택에서 소외되는 등 기존 제도를 통한 빈곤 개선은 여전히 한계가 있음

베를린, 캐나다 등 세계 도시들은 효과적인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소득실험을 착수하는 등, 새로운 복지의 선제적 도입 필요성 대두

취약계층을 더 두텁게 보호하고 소득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미래 복지모델로서 디딤돌 소득 도입

주요 연혁

(2022년)

-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 추진계획 수립(1월)
­- 1단계 사업 참여가구 선정 및 안심소득 지급(7월~)
- ­안심소득 시범사업 확대 추진계획 수립(10월)

(2023년)

- 2단계 사업 참여가구선정 및 안심소득 지급(7월~)
­- 가족돌봄청년 등 저소득 위기가구 안심소득 지원 추진계획 수립(10월)

(2024년)

- 단계 사업 참여가구 492가구 선정 및 안심소득 지급(4월~)
- 서울 안심소득 네이밍 시민 공모전(6월)
- 서울디딤돌소득으로 명칭 변경(9월)

세부 내용

│사업개요│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중위소득 85% 이하, 재산 3.26억원 이하인 가구

(지원내용) 중위소득 85% 기준액과 가구 소득평가액 간 차액의 50% 지원
- ­생계·주거급여, 기초연금, 청년수당등 기존 현금성 복지급여와 중복 수령 불가


(선정방법) 온라인을 통해 공개모집 후 예비가구 무작위 추출 및 소득·재산 조사

(지원규모) 소득·재산 기준 충족한 2,076가구 ※ 비교집단 3,527가구(1·2단계)

(사업기간) ’22.7월~’25.6월 지원 / ’22.5월 ~ ’26.12월 연구분석

구분지원 기간선정 기준지원 가구
1단계’22.7월~’25.6월, 3년중위소득 50%이하(재산 326백만원↓)484가구
2단계’23.7월~’25.6월, 2년중위소득 50~85%이하(재산 326백만원↓)600가구
중위소득 50%이하(재산 326백만원↓)500가구
3단계’24.4월~’25.3월, 1년중위소득 50~85%이하(재산 326백만원↓)

492가구

※ 가족돌봄청(소)년 128

저소득위기가구 364

│비교집단 선정, 집단 변화 시계열 순 연구 등을 통한 효과성 검증│

가구 규모, 연령, 소득수준 등 고려하여 지원집단·비교집단의 대표성 확보

자료 수집을 위해 사전 ~ 중간 ~ 사후조사 ~ 추적조사 등 총 8회 조사 실시
- ­소득재산 공적 자료, 소비·지출내역 분석 데이터 등 활용, 정밀도·신뢰도 제고
- ­수집된 자료를 지원집단과 비교집단 간 비교와 시계열 변화 분석을 통해 주요 7대 분야*에 디딤돌소득의 효과성 측정
* (7대 분야) 일과고용, 가계경제, 주거환경, 교육훈련, 건강생활, 가족사회, 삶의태도

│전문가 및 세계도시 협력체계 구축│

‘세계 소득보장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주요 도시 및 연구기관 간 담론의 장 형성

- 소득보장 분야 연구자료·보고서 등 공유, 공동 연구 및 공동 세미나 개최 등 수행

현행 사회보장제도 간 관계성과의 정밀한 검토를 위한 ‘정합성 연구 TF’ 구성

- 3개 분과(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서비스)로 운영하며, 디딤돌소득 기반 개선안을 마련함으로써, 대한민국 복지정책 차세대 표준 정립 및 전국 확산 토대 구축

기획조정위원회

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서비스

국기초(생계급여, 의료급여)
근로·자녀장려금, 기초연금
아동수당, 기타 사회수당 등

국민연금, 국민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노인, 장애인, 청년
아동, 여성 등 복지서비스 등

(관련 링크)

서울복지포털- https://wis.seoul.go.kr/wfs/sws/safeSalary.do

서울디딤돌소득- https://ssi.welfare.seoul.kr/web/main/index.do



복지실 │ 안심소득과 │ 대표전화 02-120
관련 정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