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 도입 배경 및 목적
- 산책로 등 선형적인 수변공간을 문화와 축제를 즐기는 버라이어티한 공간으로 재편
- 하천과 지역의 특성에 따른 수변감성도시 선도 모델 마련. 여가 문화 공간 조성으로 시민의 일상에 쉼을 제공하는 휴식공간 제공
주요 연혁
(2008년)
- 홍제천 인공폭포 ‘완공’
(2022년)
- 수변활력거점 27개소를 포함한 수변감성도시 추진계획 발표(4월)
- 서울시 수변활력거점 1호 홍제천 개장식(11월)
(2023년)
- 서울형 수변활력거점 1호 ‘홍제천 인공폭포 수변테라스 카페’ 운영(4월)
- 서울형 수변활력거점 1호 홍제천 수변테라스 카페 내 ‘아름인도서관’ 개관(9월)
(2024년)
- 서울형 수변활력거점 2호 ‘도림천 수변테라스와 쉼터’ 개장(5월)
- 서울형 수변활력거점 3호 ‘종로구 홍제천 역사문화공간’ 개장(7월)
- 서울형 수변활력거점 4호 ‘동작구 도림천 주민 커뮤니티 공간’ 개장(8월)
- 서울형 수변활력거점 5호 ‘세곡천 복합문화공간’ 개장(11월)
- 서울형 수변활력거점 6~8호 ‘불광천, 고덕천’ 개장(12월)
세부 내용
구분 | 지역 | 개장일 | 위치 |
역사문화형 | 홍제천(종로) | 2024.7. | 서울시 종로구 홍지동 99-7 일대 |
고덕천(강동) | 2024.12. | 서울시 강동구 고덕2동 고덕교~고덕천교 | |
커뮤니티형 | 도림천(관악) | 2024.5. |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봉림교~신림교 |
도림천(동작) | 2024.8. | 서울시 동작구 신림동 신대방역~보라매공원입구 | |
홍제천(서대문) | 2023.4.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170-181 | |
불광천(서대문) | 2024.12. | 서울시 서대문구 불광천길 159 증산2교~해담는거리 | |
세곡천(강남) | 2024.11. | 서울시 강남구 세곡동 509 세곡천 일대 | |
불광천(은평) | 2024.12. | 서울시 은평구 증산로 414 은평춘당 일대 |
│ 수변활력거점 1호 홍제천(CAFE 폭포)│
홍제폭포
(주소)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170-181
(교통) 3호선 홍제역 4번 출구에서 7713,7738 버스 탑승, 백련교 정류장에서 하차 후 213m(도보 4분)
(폭포 가동시간) 연중무휴 8시~21시
(카페폭포 운영시간) 매일 10시~21시(주문 마감 20시 40분)
(폭포책방 아름인도서관 운영시간) 매일 9시~19시(점심시간 13시~14시, 법정 공휴일 휴무)
한때 도심 속 사막으로 버림받았던 하천을 2008년 한강 물을 끌어올려 높이 25m, 폭60m에 달하는 홍제폭포로 조성하여 수변감성도시로서의 첫 발걸음을 뗌
변화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2022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홍제폭포 맞은편에 수변 노천카페 ‘카페폭포’와 ‘폭포책방 아름인도서관’ 조성
‘카페폭포’는 오래된 주차장과 창고로 썼던 공간을 활용한 것으로, 야외테라스 전망대와 통유리를 통해 홍제폭포를 바라보며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매력이 있음. 최근 SNS를 통해 서울 여행 중 빼놓을 수 없는 관광명소로 부각
‘폭포책방 아름인도서관’은 기존 ‘카페폭포’ 별관을 리모델링해 시민들이 자연과 독서를 즐길 수 있는 자연친화형 책방으로 조성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폭포뷰를 감상하며 책과 함께 휴식을 즐길 수 있어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최고의 수변 힐링 공간으로 자리매김
![]() | ![]() |
│수변활력거점 2호, 도림천(공유형 수변테라스)│
도림천 공유형 수변테라스는 신원시장 공영주차장 일부와 유휴부지 활용으로 도림천의 의미가 퇴색되었던 것을 도심천 공유형 테라스로 조성하여 신원시장 혹은 별빛 신사리 상점가에서 구입한 먹거리를 수변공간에서 즐길 수 있도록 시민을 위한 수변테라스와 쉼터 설치
이후 수변테라스는 여름철 시민들의 피서지로, 겨울철에는 별빛이 쏟아지는 조명 맛집으로 거듭났으며, 인근에서 불빛축제 ‘관악별빛산책’이 진행되기도 함
![]() | ![]() |
│수변활력거점 3호, 종로구 홍제천(홍제천 상류 역사문화 공간)│
홍제천 상류 종로구 홍제천에 역사문화공간 조성과 함께 홍제천 복원사업을 실시하여 홍지문 인근에는 역사와 자연, 감성적인 야경이 공존하는 ‘일상 속 역사문화공간’이 조성되었으며 문화재를 탐방할 수 있는 보행로와 돌다리와 서울의 역사 자원인 홍지문 탕춘대성을 조망할 수 있는 수변테라스 설치
홍제천 상류부터 홍지문에 이르는 약 2.5km 구간에 ‘홍제락길’과, 홍지문~세검1교 구간에 자리했던 낡고 오래된 시설물을 철거하고 새롭게 산책로, 벤치, 안전난간, 옹벽 등을 설치하여 흐르는 물 소리를 따라 걸을 수 있는 ‘보행로’ 새롭게 조성
![]() | ![]() |
│수변활력거점 4호, 동작구 도림천(주민커뮤니티)│
홍수로부터 주민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제방을 활용하여 복지시설(데이케어센터)과 연계하여 휴식을 취하며 하천을 조망할 수 있는 ‘숨마당’
보라매공원과 연계하여 하천을 조망하며 쉴 수 있는 다모임 마당 등을 설치해 제방을 활용한 새로운 공간활용 방식 제시
│수변활력거점 5호, 강남구 세곡천(문화공간)│
인근 직장인들의 점심 산책은 물론 가족단위를 포함한 다양한 세대가 어우러져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 조성
천변을 바라보며 쉬고 또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가 설치된 ‘물맞이공원’을 중심으로 자연 생태체험이 가능한 테라스, 클라이밍을 비롯한 다양한 놀이가 가능한 사면놀이터 설치
![]() | ![]() |
│수변활력거점 6·7호 불광천(서대문구, 은평구)│
불광천 수변활력거점은 세곡천의 사례처럼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되었으며, 서대문구(증산역)와 은평구(새절역) 수변활력거점은 지하철로 한 정거장이라 두 곳을 함께 즐길 수 있음
(서대문구) 증산2교~해담는다리 구간으로 공원 입구 수변과 보행로를 연결한 이팝테라스, 왕벚나무 아래 조성된 휴게공간 그늘마루, 수변을 조망할 수 있는 중앙광장인 해담는마루, 인근 상가와 연계해 식음료를 즐기며 수변을 감상할 수 있는 별빛마루 등이 조성
(은평구) 기존 하천 공간을 재편하고 수변 공간의 가치를 살려, 주민의 다양한 활동을 위해 수변무대와 객석을 조성하고 보행데크 확장과 벤치 설치로 보행편의성과 조망 기능을 높였으며, 불광천의 랜드마크인 ‘전망보행교’ 설치
![]() | ![]() |
│수변활력거점 8호 고덕천│
고덕천은 사계절 내내 볼거리, 즐길 거리가 가득한 공간으로 조성
고덕천을 바라보며 휴식할 수 있는 물멍자리, 교량 아래에 조성된 운동시설과 물가에서 쉴 수 있는 놀이자리로 구성
또한, 미디어스크린을 활용한 영화 상영과 버스킹, 음악회를 비롯해 생태체험과 과학교실을 운영해 문화와 자연을 함께 즐기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