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스마트라이프 위크 개최
서울스마트라이프 위크는 시민들에게는 곧 다가올 미래도시 서울의 체험 기회와, 기업에게는 해외 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종합 박람회로서 자리매김함

정책 목적

사람 중심의 가치와 철학이 담긴 첨단기술을 선보이는 새로운 형태의 ICT 박람회를 개최하여, 전 세계 도시가 SLW에 모여 기술트렌드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혁신 기술이 일상에서 구현되는 스마트도시 서울을 체험

 

 

정책 개요 

(슬 로 건) Human-Centric Tech, Connect to a Better Life

- 그 간 국내·외 ICT 박람회가 기술을 전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SLW는 전시의 중심을 ‘사람’에 두었음

(주 제) 첨단기술이 바꾸는 도시생활의 미래

(추진기간) ’24. 10. 10. ~ 12. (※ 장소 : 서울 코엑스)

(주요내용) 전시회(Exhibition), 포럼·회의(Forum·Conference), 시상식(Prize) 

- 해외 도시 정부 관계자가 대거 참여하여 국내 혁신기업과 교류·협력 및 글로벌 판로확보·투자유치를 지원하는 종합 ICT 박람회 추진

 

 

세부 내용

│전시(Exhibition)│

(쇼룸) 첨단기술을 통해 변화하는 미래 도시의 일상 체험

- 일반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미래 기술을 집약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

 < 쇼룸 조감도 >

(기업전시관) 국내 혁신기업의 글로벌 판로 개척 지원

- 모빌리티, 헬스케어·뷰티, 약자동행기술, 로보틱스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기술과 제품 소개 공간으로 조성

<기업전시관 조감도>

<온라인 전시관>

(PYC프로그램) 해외도시 관계자 ↔ 국내 기업 간 직접 대면 기회 제공

- 해외 도시 문제 해결 솔루션을 가진 기업을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모집하여 관련 관계자와 직접 대면하여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는 기회 제공

 Presentation for Your City

해외도시 대상 수요조사

기업 대상

모집 공고

프로그램 준비

프로그램 운영

도시문제‧해결과제 관련 관심사항 수요조사

솔루션을 가진 기업 모집

※ 관심 도시별 신청

발표 기업 확정 및 준비, 도시와 기업 매칭

기업별 도시문제 솔루션 발표

- 모집 시, 해외도시를 위한 솔루션 발표를 진행하는 PYC 프로그램과 기업의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IR 피칭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모집

 

PYC

IR피칭

프로그램

소개

해외도시 도시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술·제품을 가진 기업이 해외도시 시장 등 관계자와 직접 대면해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고 교류하는 프로그램

ICT기업이 제품 및 기능을 다수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홍보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방식

해외도시별 30분, 최대 3개사 발표

기업당 10분 발표

모집대상기업

해외 도시문제 솔루션 보유

국내 기업 및 스타트업

(최대 42개사)

기업 솔루션․제품 홍보를 희망하는 SLW 전시 참가기업(온라인 전시 포함)(최대 20개사)

- 금번 진행하는 PYC 프로그램에는 20개국 26개의 해외도시가 참여 의사를 밝힘

연번

국가명

도시명

도시문제 관심분야

1

라오스

비엔티안

교통, 환경

2

도미니카공화국

산토도밍고

안전, 복지 등

3

모로코

라바트

교통, 환경, 행정

4

마라케시

교통, 환경 등

5

네팔

다막

교통, 안전 등

6

멜번

환경

7

가우리간지

교통, 문화, 행정

8

파키스탄

페샤와르

교통, 안전 등

9

프랑스

파리

환경, 행정 등

10

감비아

반줄

안전, 문화 등

11

카메룬

은콩삼바 3

복지, 행정 등

12

쿰바

교통, 폐기물처리 등

13

가나

아크라

교통, 환경, 안전

14

테마

교통, 행정 등

15

체코

브르노

교육

16

페루

푸노

교통, 환경

17

콜롬비아

보고타

교통, 안전, 복지

18

방글라데시

하비간지

교통, 환경 등

19

튀르키예

코냐

교통, 안전 등

20

브라질

이타페치닝가

교통, 안전 등

21

케냐

몸바사

교통, 안전, 복지

22

일본

도쿄

교통

23

나가노

안전

24

튀니지

스팍스

교통, 복지, 환경

25

라이베리아

페인스빌

교통

26

이집트

카이로

교통

 

│포럼·회의(Forum·Conference)│

(Mayors 포럼) 글로벌 스마트도시 리더 중심의 국제 포럼

- (일 시) 2024. 10. 10. 13:00~14:30

- (주요연사) 세계 도시 시장

- (주요내용) 다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스마트 도시

(스마트도시 성과공유 컨퍼런스) 각 도시별 스마트도시 성과 공유

- (일 시) 2024. 10. 10. 14:40~15:40

- (주요연사) 2023년 도시 상 수상자

- (주요내용) 사람 중심의 기술, 더 나은 삶을 연결하다

(도시 공간정보 포럼) 도시 공간정보의 공공성과 신기술 논의

- (일 시) 2024. 10. 10. 16:00~18:00

- (주요연사) 공간정보 전문가

- (주요내용) 공간정보가 바꾸는 스마트도시의 미래

(서울 빅데이터 포럼) 세계 석학 및 기업들이 함께 모여 서울의 미래 논의

- (일 시) 2024. 10. 11. 9:30~18:00

- (주요연사) 각 분야별 빅데이터 전문가

- (주요내용) 미래를 여는 빅데이터와 AI : 더 나은 서울의 내일

(글로벌 CDO 포럼) 스마트도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비전 논의

- (일 시) 2024. 10. 11. 10:00~12:00

- (주요연사) 세계 도시 국·과장

- (주요내용) 지속 가능한 스마트도시 전략

(스마트라이프 컨퍼런스) 실생활에서 최신 기술 적용 사례 등 정보 교류

- (일 시) 2024. 10. 11. 오후

- (주요연사) 국내·외 IT 전문가

- (주요내용) AI 전환을 통한 글로벌 스마트라이프  

 

│서울 스마트도시 상(Seoul Smart City Prize) 시상식│

(시상목적) 약자동행의 가치를 담은 미래스마트도시 비전의 전세계 확산

- 본 상은 ’22년 9월 서울시와 WeGo(세계스마트시티기구)가 도시 양극화 문제 해소와 포용적 성장 촉진 등 세계인들이 함께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를 구현하고 공유의 장을 마련하고자 제정

(시상분야) 사람중심·기술혁신 등 총 21개 분야 시상

시상부문

시상대상

시상내역

프로젝트부문

(16개)

도시정부,

기관,기업

Human-CentriCity (사람 중심 분야) 8개  

고령층, 장애인, 여성,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포용 정책, 서비스, 솔루션 우수사례 선정

Tech-InnovaCity (기술 혁신 분야) 8개 

4차산업 첨단기술(메타버스,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기반의 도시혁신 정책, 서비스, 솔루션 우수사례 선정

리더십 부문

(2개)

개인

스마트도시 우수정책 수립 및 글로벌 확산에 기여한 개인

시장, 전문가, 기업가, 사회운동가, 시민 등

제3자 추천 필요

도시정부, 기업 및 기관의 장

30인 이상의 시민 추천

   - 대표 추천자 추천서

   - 연대서명서

특별상

(3개)

프로젝트 부문

'서울 스마트도시 상' 협력 국제기구가 수여하는 상

국제 기구(GGGI)가 선정한 우수 프로젝트에 수여

프로젝트 부문(도시)

WeGO-IMD 스마트시티 인덱스 평가 결과 반영

인덱스 결과보고서 기반으로 선정한 우수도시에 수여

프로젝트 부문(기업)

‘서울 스마트도시 상’ 협력 협회가 수여하는 상

SEMI(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가 선정한 우수기업에 수여

 



디지털도시국 │ 디지털정책과 │ 대표전화 02-120
관련 정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