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목적
편리하고 트렌디한 새로운 서울 한옥에 대한 붐업을 통해 한옥 문화 활성화 및 도시 경쟁력 제고
정책 개요
편리하고 매력 있는 새로운 한옥 디자인 지원 확대
한옥마을 신규 조성 확대로 서울 곳곳 일상 속 한옥 지원
세계시민을 위한 글로벌 한옥으로 우리 주거 문화 매력 전파
세부 내용
│디자인 지원 확대 등으로 창의적이고 새롭고 트렌디한 한옥 건축│
한옥의 개념을 한옥 건축물에서 ‘한옥건축양식’과 ‘한옥 디자인 건축물’까지 확장
- 그동안 건축·수선을 지원받기 어려웠던 상업용 한옥 등 현대적인 구조·재료가 결합된 한옥도 최소 기준(필수 항목)만 충족하면 ‘한옥건축양식’ 항목으로 지원하여 다양하고 개성 있는 한옥 조성
한옥을 재해석한 현대 건축 사례 |
한옥건축 심의기준을 대폭 개편하여 더욱 편리하고 창의성 있는 한옥 조성 추진
- 구조, 창호, 기와, 처마길이, 마당 상부 구조물, 마당 높이차 등 33개 심의기준 완화하고, 가구 배치, 창틀, 대문 등 11개 항목은 폐지하며, 10평 미만의 소규모 한옥 심의기준은 입면비례, 지붕 높이, 처마길이 등을 완화 추진
전통적인 구법·형태, 특성을 잘 살린 한옥은 건립비의 최대 20%까지 추가 지원
- 공간구성배치(5%), 한식창호(5%), 목구조(5%), 가로경관(2.5%), 지붕경관유지(2.5%)
![]() | ![]() |
인센티브 지원 예시 |
│서울 곳곳 매력있는 신규 한옥마을 조성 등 일상 속 한옥 확대│
자치구 공모 등을 통해 공원해제지역, 훼손된 개발제한구역 등 활용하여 조성
도심 속 한옥 < 은평한옥마을 > | 도심 속 한옥 < 북촌한옥마을 > |
‘한옥등록’ 활성화를 통해 서울시 내 최대 3,000동의 한옥 보전 지원
- 개량·변형 등이 이루어졌더라도 가옥의 주된 구조가 ‘한식 목구조’로 되어 있으면 현재의 외관 형태와 관계없이 신청·등록 가능
- 등록한옥이 되면 한옥 전면 또는 부분 수선, 신축, 노후 전기배선 교체, 흰개미 방제 및 한옥지원센터의 현장점검, 컨설팅 등 한옥과 관련된 각종 지원 시행
│K-리빙 등 한옥 주거 문화 콘텐츠 발굴 및 매력확산│
외국인 방문객 대상 한옥·주거문화 체험 공간인 ‘공공한옥 글로벌라운지’ 조성
- 한옥 관련 정보 제공, 다도·도예 등 체험 프로그램, 한옥 인테리어 쇼룸 전시 제공
지역 특성 및 볼거리·즐길거리를 제공하는 종합 마을안내소 ‘서촌 퍼멘티드’
- 서촌 내 상점·체험관·숙소 등을 연결하는 컨시어지 역할
- 지역 주민 공동차 활성화를 위한 공공 쉼터 및 소통 공간 제공
![]() | ![]() |
북촌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인 ‘공공한옥놀이터’ 제공
- 소모임·회의·행사 등 다양한 용도로 대관(무료)함으로써, 관광객 및 시민들에게 한옥 공간에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이색적인 경험 제공
서울다움을 대표하는 자산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서울한옥’ 브랜드 개발
- 서울한옥만의 차별화된 핵심가치, 글로벌 수용성, 확장성 등을 고려, 디자인 개발
핵심가치 | 일상, 직관적, 확장성, 살아있는 |
아이덴티티 | ‘오늘의 집’ ‘오늘 우리의 문화가 살아있는 공간’ |
로고 표현 | 한옥과 풍경을 잇는 기와의 리듬감과 곡선의 아름다움 표현 |
- 정책 홍보·마케팅, 굿즈 개발 등 연계 활용을 통해 서울한옥의 매력 확산 강화
![]() | ![]() | ![]() |
현판 | 굿즈 | 홍보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