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목적
공원·정원 등 다양한 녹지 공간 인프라 확대를 통해 여가·휴식 등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도모, 온실가스 저감 등 기후변화 대응 기여
정책 개요
(비움) 꽉 찬 도심의 공간을 비워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열린 정원 조성
(연결) 시민들이 더 가까이에서 여가 공간을 접하도록 공원, 녹지대, 산책로 연결
(생태) 산, 지천이 본래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머물며 쉴 수 있는 생태정원으로 전환
(감성) 서울의 정원이 대표 관광상품이 되도록 재정비 및 관련 콘텐츠 개발
세부 내용
│도심 속 공간을 비워 도시의 숨을 틔우는 열린 정원 조성│
송현동 부지와 용산 공원 내 일부 공간을 도심 속 특별한 정원으로 조성
- 용산공원의 경우 미군이 떠나 비워진 넓은 공간(2,426,728㎡)을 다양한 나라의 대표 정원을 선보이는 세계정원으로 조성하여 도심 속 관광 명소화 추진
마곡3지구 문화시설부지를 서울식물원 조경과 연계하여 시민 휴식 정원 조성
기존 도로 지하화를 통해 비워진 상부를 공원·정원으로 조성하여 휴식 공간 조성
│서울 어디서나 5분 내 정원을 만나도록 단절된 녹지 연결 및 추가 조성│
5분 안에 쉽게 접근하여 숲 체험, 트레킹 등 여가 활동이 가능한 서울초록길 조성
- 외곽의 둘레길과 도심 곳곳 낮은 산에 조성된 자락길, 하천길 등을 촘촘히 연결
- 산 하부에는 숲정이*를 넓게 조성하여 등산객이 모이고 쉴 수 있게 되며, 넓게 펼쳐진 계절 꽃 군락지도 조성하여 다채로운 휴식과 볼거리 제공
* 마을 근처의 숲을 가리키는 순 우리말
- 하천 등 단차가 있는 지형에는 층층나루 등 경사형 입체연결정원을 조성
‘서울둘레길 2.0’을 통해 누구나 쉽게 도전하고 즐기는 산책로 인프라 조성
- 기존 둘레길을 총 156.5km(숲길 85km, 마을길 40km, 하천길 32km), 21코스로 확대
- 코스별 불편한 장소 재정비 및 스카이워크·데크·전망대·휴식시설 설치
- 지역 명소와 전통시장 등 지역 상권과 길을 연결하여 보고·먹고·즐길거리 확대
![]() | ![]() |
서울 둘레길 코스 예시 |
덕수궁길 한쪽 보도에 잔디길과 휴식 시설을 조성하여 일상 속 녹지 경험 제공
공중·평면·지하에 끊김없이 일상 어디서나 초록공간을 만나도록 입체정원 조성
- 옥상, 벽면, 고가 하부, 지하 실내에도 공간 특성에 맞게 크고 작은 맞춤형 정원 조성
- ‘서울아래숲길’사업을 통해 삭막한 지하역사 공간 등에 실내숲 조성
│산·지천 등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다양한 경관을 제공하는 생태정원 조성 │
한강의 자연형 호안 82km 복원 및 가까운 도심 하천을 수변감성공간으로 조성
- 한강 내 동·식물이 살기 좋은 환경을 보전함과 동시에 한강공원에는 꽃길·꽃밭 등을 조성하여 시민체험공간으로서 매력을 강화하고, 하천구역(제방·둔치)에는 수목·초화류를 식재하며, 불광천 등 도심 생태·여가 명소로 물의 정원 조성 추진
남산의 산림자원과 자연환경 활용, 전국 수종을 볼 수 있는 야외숲박물관 조성
기존 공원부지 내 훼손지 식생 복원, 계절별 꽃 식재 등 생활밀착형 공원 조성
│서울정원이 도시의 대표 문화·관광 상품이 되도록 감성 콘텐츠 개발│
세계적인 정원축제로서 국제정원박람회 개최 및 한강 인근 테마정원 조성
월드컵공원 내 글램핑존 등 기존 공원들을 지역별 특색 있는 명소로 재정비
율현공원 꽃의정원, 하늘공원 계절꽃 등 권역별 거점공간에 대규모 특화정원 조성
녹지활용계약을 통해 근교산 주변 사찰림 내 치유의 숲길, 쉼터 등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