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한강버스
서울시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도시교통 실현을 위해 도입한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하이브리드·전기 선박으로, 한강을 따라 마곡부터 잠실까지 7개 선착장을 연결하며, 서울의 이동 방식을 확장하는 새로운 수상 교통이자 도시 여정을 바꾸는 서비스. 출퇴근은 물론, 서울의 매력을 즐길 수 있는 친환경 교통이자 관광 콘텐츠로,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특별한 경험 선사 예정.

정책 도입 배경

- 워라밸 시대에 발맞춰 육상에 치우쳐 있던 기존 대중교통을 수상까지 확장하여 서울시민의 출퇴근 편의를 증진하고, 한강을 중심으로 서울 곳곳의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3천만 관광객 시대’를 열기 위한 미래 서울의 핵심 교통수단으로서의 ‘한강버스’를 기획.

주요 연혁

(2023년)

- 한강버스 도입 운영 추진 및 기술용역 타당성 심사(5월)

- 한강버스 운영 활성화 방안 용역 착수 (8월)

- 선착장 조성 등 설계 추진(12월)

(2024년)

- 한강 수상교통 고유 이름 공모, ‘한강버스’ 로 결정(5월)

- 선착장 접근성 개선공사(5월~)

- 한강버스 2척 건조 완료 및 안전기원 진수식 개최(11월)

(2025년)

- 계류시운전(On Board Test), 선재 장비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 및 조정하는 STW(Setting to work)작업과 해상시운전 등을 통해 선박 안전성과 성능 등에 대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검사 최종 통과(2월)

- ‘한강버스’ 두 척 여의도 도착(2월)

- 한강의 실제 상황을 반영한 시범운항 시작(3월)

세부 내용

│(한강버스) 안전·환경·편의성을 갖춘 선박(155~199명까지 탑승 가능)│

(안전강화) 항로표지, 교각충돌방지 표지, 잠수교 높이 표시장치 등 안전시설 보강, 한강버스 관제시스템 운영, 시범운항 실시 등을 통해 안전강화

(환경친화) 전기-디젤 하이브리드(8척) 및 전기 추진체(추가4척)가 탑재된 친환경 선박으로 건조

- 하이브리드 추진체는 디젤엔진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약 52% 가량 감소

(이용편의) 탑승객 전원 좌석제 및 개인 테이블 비치, 자전거 거치대 설치 등

- 간단한 업무와 식·음료까지 즐길 수 있도록 개인 테이블을 동반한 좌석제 운영

- 휠체어석 배치와 무장애 설계(Barrier-Free Design)로 보행약자 이용 편의 제고

- 대중교통 이용 시 어려웠던 자전거 휴대 탑승이 용이하도록 거치대 설치

- 한강버스 이용 중 한강의 야경·경치를 만끽할 수 있도록 파노라마 통창 설치

│(선착장) 높은 수요 예상 지역에 선착장 설치 및 접근·이용 인프라 강화│

주거, 업무, 상업, 관광 등 배후 지역별 특성과 대중교통 연계, 수심 등 고려 선정

선착장 위치

선착장 연계 교통편

마곡

가양나들목 인근

망원

망원한강공원 내 망원나들목 인근

여의도

여의도한강공원 내 이벤트 광장 인근

압구정

잠원한강공원 내 신사나들목 인근

옥수

옥수나들목 인근

뚝섬

뚝섬한강공원 내 청담대교 하부

잠실

잠실한강공원 내 잠실새내나들목 인근

(접근성 강화) 버스노선 신설·조정, 따릉이 배치 경사로 신설 등

- 정식운항 일정에 맞춰 접근성 개선 위한 신설·조정된 전 노선버스 운행 시작, 선착장 주변 따릉이 배치 및 운영, 여의도 한강공원 보행 접근성 개선

(버스연계) 마곡(1개 노선 신설), 망원·압구정·잠실(각 2개 노선 조성)

(따 릉 이) 망원, 여의도, 압구정, 뚝섬, 잠실 30대 / 옥수 20대 / 마곡 15대

(한강공원 내(여의나루역 ~ 선착장) 경사로(폭 3m, 길이 80m, 경사 1/12)를 신설하여 보행약자 이동거리 180m 단축 및 중앙계단 확장(폭 24m → 34m, 증 10m) 완료(4월))

선착장 내 카페 등 편의시설과 정보 안내 단말기가 설치된 승객 대기실 조성

- 정보 안내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한강버스 위치, 도착시간 등 정보 제공

수요, 배후 한강공원 특성 고려, 모든 시민 이용 가능한 개방 공간으로 디자인

< 1층 타입 마곡, 옥수 >

< 2층 타입 망원, 여의도, 압구정, 뚝섬, 잠실 >

│충분한 단계별 시범운항을 통한 운영 체계 안전성 확보│

(선박 및 시설·설비 검증) 선박 및 하이브리드 추진체, 선착장, 관제시스템 점검

- 신규 선박과 추진체의 안전성·사용성, 선박의 안전한 선착장 접이안 및 이용객의 안전한 승·하선, 운항 관리 및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 체계 집중 점검

(인력훈련) 한강버스 관련 인력의 선박 운항, 안전관리, 선착장 운영 숙련도 제고

- 해양 경찰청, 목포해양대 등 교육·훈련 전문기관과의 업무 협조를 통해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이론 교육 및 가상 운항 실습 및 항법·시설 훈련 등 실시

(항로검증) 구간별 적정 속도, 교량 통과 시 안전성, 항로 적정성 등 검증

- 실제 선박으로 운항하면서 검증된 최종 확정된 항로를 기준으로 운항 방식, 수상레저활동 위험 및 금지 구역 운영 등에 대한 운항규칙 보완

(비상대응훈련) 한강버스 운영 시 발생 가능한 비상상황별 대응매뉴얼 마련

- 8개 비상상황*별 매뉴얼에 따라 자체훈련 및 119수난구조대, 한강경찰대 등 유관기관과의 합동훈련 실시

* 선박 충돌, 선박 화재, 선박 표류, 선박 침수, 선박 좌초, 선착장 화재, 선착장 침수, 선착장 홍수

(영업 시운항) 모든 검증·훈련 완료 후 시운항을 통해 최종 점검

- 선박 운항 및 선착장 운영 종사자들의 숙련도 확인 및 시민 무료 승선 이벤트 등을 통해 안전·운영상 미비점에 대한 의견 수렴 후 최종 보완 추진

(관련 링크)

한강버스 공식 홈페이지 https://www.hgbus.co.kr

(동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aQDJyk3gDgs

https://www.youtube.com/watch?v=josfNude4Hc



미래한강본부 │ 한강이용증진과 │ 대표전화 02-120
관련 정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