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목적
창업 분야에서의 다양한 일경험 및 교육 등 제공으로 안정적인 정착 지원
정책 개요
사업명 | 주요 분야 | 지원 내용 |
넥스트 로컬 | 지역자원 활용 사업화 추진 | 사업아이템 발굴, 사업화 등 다양한 비즈니스 경험 제공 |
청년쿡 비즈니스 | 식품제조업 | 공간 인프라 및 전문가 멘토링 등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제공 |
프렙 아카데미 | 외식업 (식음료, 베이커리 등) | 상권분석 등 실전형 이론 및 선배 창업가 멘토링 등 지원 |
세부 내용
│타 지역을 비즈니스 무대로 창업가로서 성장을 지원하는 ‘넥스트로컬’│
지역별 고유 자원과 연계된 새로운 창업 모델의 발굴·성장
- 서울 거주 청년 대상 창업 지원과 더불어, 일자리 창출 등 타 지역과의 상생발전을 위한 기반 구축
- 참여 기수별 전국 곳곳 다양한 활동 지역을 선정하여 폭넓은 아이템 선정 등 내실 있는 창업 활동 지원
마케팅·유통, 지역관광문화자원, 복지 등 전 분야를 대상으로 사업 전략 수립
- (자원활용전략) 지역의 유·무형 자원 활용, 상품 및 서비스 기획·제작
- (지역해결전략)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 기반의 상품 및 서비스 개발
- (지역기반전략) 지역 내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동 공간을 구성 및 운영
현지 조사, 사업화 등 다양한 비즈니스 경험을 위한 단계별 맞춤식 교육 제공
구분 | 1단계 | 2단계 | 3단계 |
추진 내용 | ![]() | ![]() | ![]() |
창업 아이템 발굴을 위한 지역자원조사 실시 | 선발된 창업 아이템을 성숙시켜 구체적인 사업실행계획 수립 | 사업성·지속가능성 등 평가 후 검증된 사업 모델 최종 선정 | |
기간 | 2개월 | 6개월 | 8개월 |
선발 대상 | 50팀 | 20팀 | 10팀 내외 |
지원 사항 | · 현지 파트너 연계 · 교통비, 숙박 등 활동비 지원(100만원) | · 창업전문코치 피드백 · 초기사업비(시범운영 등) (최대 2천만원) | · 고도화 위한 맞춤 교육 · 최종사업비 (최대 5천만원) |
│식품분야 청년 창업을 육성·지원하는 ‘청년쿡 비즈니스센터’│
제품 제작부터 판매까지 원스톱 창업 지원이 가능한 다양한 공간 인프라 제공
공유 주방(제품 판매·개발) | 사무공간(코워킹 스페이스) |
냉장·냉동룸(기업별 재료 보관 등) | 택배 포장·발송 공간(온라인 제품 판매 지원) |
식품분야 기업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다양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제공
- 입주기업 간 네트워킹 및 제품개발을 위한 초기사업비 일부 지원
- 식품위생법, 식품표시사항, 마케팅, 특허, 투자 등 각 분야 전문가 1:1 멘토링
- 온·오프라인 품평회 및 브랜드 로고, 패키지, 상품페이지 제작 등 홍보
- 신제품 판매 시 소비자 반응을 검증하기 위한 크라우드펀딩 설계 지원
성과공유회 및 IR 모의투자대회 개최로 참여 기업 역량 강화 및 사업자금 지원
│외식업 시장에서 청년 창업가의 성공적 안착을 지원하는 ‘프렙 아카데미’│
‘실전형 이론 교육’을 통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체험형 교육 제공
- 상권분석 기법, 배달앱 활용 전략, 임대차 계약 방법, 사업계획서 컨설팅 등
사전상담을 통한 개별진단 후 ‘1:1 실습 교육’을 통해 전문가의 맞춤형 지도
- 또한, 소비자 평가단의 시식·품평회를 진행하여 레시피, 플레이팅 코칭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선배 창업가 매장을 방문하여 경영 노하우 등 공유
창업 이후 ‘사후관리 밀착 지원’을 통해 경영개선 및 홍보 콘텐츠 제작 등 지원
- 그 외, 수료생이 희망할 경우, 창업한 매장 내 결제 단말기(토스 프론트) 지원
외식업 창업을 위한 실습공간부터 촬영 스튜디오까지 관련 인프라 지원
![]() | ![]() | ![]() |
쿠킹룸 | 베이킹룸 | 촬영 스튜디오 |
안정적인 창업 준비 및 운영을 위한 경제적 지원 및 커뮤니티 활성화
- 창업 성공 시, 초기 운영자금 최대 7천만원 이내 창업보증 및 저금리 지원
- 수료생 선배 특강 등 기수 간 교류를 확대하고, 연수 등을 통한 소통의 장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