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립은둔청년 지원 종합 대책
1인 가구가 늘어나고 가족 간 유대가 약해지면서 사회적 관계가 점점 느슨해지고 있음. 여기에 경기침체로 취업도 어려워지면서 청년들의 우울감과 고립감이 커지고 있음. 이에 따라 고립·은둔 청년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할 대상으로 보고, 이들이 다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종합 지원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임.

정책 도입 배경 및 목적

- 고립·은둔 청년들이 처한 상황이 장기화되며 사회적 비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공공역할이 증대, 지역에서 활동하는 민간-지자체 간 긴밀한 협력 및 장기적 정책 설계로 효과성있는 고립·은둔 청년 지원 추진

- 지난 5년간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을 넘어 새로운 도약과 혁신이 요구되는 시점으로, 서울시는 그간 사업성과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을 통해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서울형 고립·은둔 청년 지원 모델 재설계 추진중

주요 연혁

│연도별 추진경위│

(19년) 고립청년 밀착지원 사업(시범사업) 추진

(20년) 고립청년 사회적 자립 지원사업 본격 추진

(21년) 「서울시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전국 최초, 청년의 사회적 고립 측정 척도 개발

(22년) 전국 최초, 「고립·은둔청년 실태조사 실시」

(23년) 서울시 고립·은둔청년 종합지원 계획 수립, 고립 척도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24년) 전국 최초, 고립·은둔청년 전담기관 ’서울청년기지개센터‘ 개관, 고립·은둔청년 부모 등 주변인 대상 교육, 상담 및 자조모임 등 지원

세부 내용

│추진 방향│

맞춤형

청년

지원

촘촘한 발굴체계 구축

- 민관협력으로 지역기반 밀착 발굴체계 가동

- 고립·은둔 예방 위해 청소년기부터 선제적 대응·관리

정확한 진단과 맞춤 지원

- 체계적·과확적 진단을 통한 마음건강 살피기

- 청년 상태, 준비도에 따른 온·오프라인 프로그램 지원

안전한 사회 진입 발판 마련

- 안정적 사회 진입을 위한 일 경험 프로그램 지원

- 자립성공 준비를 위한 해외봉사, 직무교육 등 경험 제공

사회적

관심

확산

민관 협력 강화

- 각 분야의 민간기관과 긴밀한 네트워크 확립

- 정부, 타 지자체 등과 정책 협력 강화

대시민 관심 환기

-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한 캠페인

- 언론, 방송 등을 활용한 공동 협력 프로그램 기획

│고립·은둔 청년의 발굴부터 사회복귀까지 원스톱 지원│

고립·은둔 청년 전담 기관 ‘서울청년기지개센터’ 운영

- 발굴 → 진단 → 지원 → 사회진입 → 사후관리까지 통합 지원·관리

고립청년

*다음의 2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

은둔청년

*다음의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

ㅇ 현재 정서적 또는 물리적 고립 상태에 놓인 자, 다음의 조건 중 1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

- 정서적 고립 : 아래 4가지 상황에서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사람이 전혀 없음

① 중요하거나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조언을 구할 수 있는 사람

② 급한 일이 있을 때, 부탁할 수 있는 사람

③ 개인적으로 돈을 빌려야 할 때, 부탁할 수 있는 사람

④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

- 물리적 고립 : 아래의 가족/친척 외 사람들과 대면교류가 1년에 한 두번 이하 또는 전혀 없음

① 친한 친구나 친한 사람과의 대면교류

② 이외 직장, 학교, 동네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들과 대면교류(업무상 교류 제외)

ㅇ 고립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

ㅇ 현재 외출이 거의 없으며 본인의 방 또는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자, 다음의 4가지 사항 중 하나에 해당

- 보통은 집에 있지만, 자신의 취미생활만을 위해 외출함

- 보통은 집에 있지만, 인근 편의점 등에는 외출함

- 자기 방에서 나오지만, 집 밖으로는 나가지 않음

- 자기 방에서 거의 나오지 않음

ㅇ 은둔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

ㅇ 지난 1주일간 경제활동이 없었고, 1개월 이내에 구직활동 및 학업을 전혀 하지 않았음

- 28개 복지관·청년센터와 협력, 밀착지원을 통한 서울 전역 촘촘한 지원체계 가동

센터 내 고립·은둔청년 전용공간 조성, 교류·성장 및 아지트 거점으로 운영

- 우리집처럼 안정감과 편안함 주는 ‘집속의 집’ 컨셉 시설 조성

내방

주방

책방

큰방

청년 상태, 욕구 및 참여 준비도에 따른 온·오프라인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 일상회복, 관계망형성 및 사회진입 등 맞춤형 프로그램 온·오프라인 유기적 제공

- 손목닥터9988, 정원처방사업 등 서울시 대표 정책과 연계하여 효과성 제고

관계망 형성

서울형 정원처방 사업

신체건강

│부모 등 주변인 지원으로 고립·은둔청년의 일상 속 안정망 강화│

이해·소통 등 교육 및 상담·자조모임 연계 지원, 부모·자녀의 변화와 성장 견인

- 고립·은둔 자녀 이해, 소통 및 치유 프로그램 등 실전교육 과정 운영

- 참여자간 사례 공유 및 공감대 형성 통한 고립·은둔 극복동기 부여

- 부모 개인상담을 통한 정서적 건강회복 지원 및 맞춤형 처방 제공

고립·은둔 극복 청년·부모가 다른 가족의 멘토가 되어줄 양성과정 운영

- 부모교육 이수자 및 극복 가족 대상, 고립은둔 심화과정 및 모의실습 지원

│고립·은둔에서 벗어나 성공적으로 정착하도록 따뜻한 응원 분위기 조성│

고립·은둔 관련 캠페인, 홍보물 제작(영상·웹툰 등) 등을 통한 인식 개선 추진

- 고립·은둔을 극복한 청년들의 사례도 지속 발굴하여 현재 어려움에 직면한 청년들에게는 사회복귀 희망을 전달하고, 시민들의 따뜻한 지지와 응원 유도

(관련 링크)

청년몽땅정보통 - https://youth.seoul.go.kr/index.do

서울청년기지개센터 - https://siryc.or.kr

(동영상 링크)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 고립은둔 청년 인식개선 캠페인

https://www.youtube.com/watch?v=cDnPdUaif8E

이 이야기는 당신의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 고립은둔 청년 인식개선 캠페인
https://www.youtube.com/watch?v=HYGAtDhtb0E



미래청년기획단 │ 청년사업담당관 │ 대표전화 02-120
관련 정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