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청년 취업 지원
구인기업과 청년 구직자 상호 간 정보 비대칭*문제 및 취업시장 동향 변화에 따른 구직 방향성에 대한 인지 부족 등은 일자리 미스매칭의 주요한 원인으로서, 취업 활동을 어렵게 하는 높은 장벽이 되고 있음 일자리 매칭 전담 창구, 광역일자리카페 등 청년 구직자에 대한 취업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들은 효과적인 일자리 연계,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며,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소하고, 효과적인 구직활동을 지원하고 있음

정책 목적

효과적인 맞춤형 구직 지원을 통하여 청년·기업 간 일자리 미스매칭 완화

정책 개요

│청년 일자리 매칭전담창구│

(기관위치) 서울시 중구 삼일대로 363 장교빌딩 1층(서울청년일자리센터)

(사업대상) 서울 거주 만 15~39세 청년 및 서울에 주소지를 둔 외국인 유학생

(지원내용) 구직자 맞춤형 컨설팅, 기업 탐방 프로그램, 일자리 매칭 등

│청년 일자리 매칭전담창구│

(기관현황) 3개소 (※ 서울시 직접 운영 현황, 자치구 운영 7개소 별도)

- (서울시) 청년활력소,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강동일자리카페

※ (자치구 자체 운영 7개소) 노량진 청년일자리센터, 구로청년이룸, 마포청년나루, 성동청년일다방, 양천광역일자리카페, 강남 취·창업 허브센터, 노원청년내일

(사업대상) 서울 거주 만 15~39세 청년

(지원내용) 1:1 취업상담, 직무멘토링, 취업특강, 모의 면접, 스터디룸 대여 등

세부 내용

│청년 구직자와 청년 선호기업을 상호 연계하는 ‘일자리 매칭 전담 창구’│

컨설턴트, 잡서칭 전문가 등 8명이 상주하며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

- 개인별 역량 및 희망기업 선정, 직무적합 기업발굴, 집중컨설팅 등 전과정 지원

초기상담

심층상담

집중매칭

구직자 역량 파악, 취업목표 설정

취업목표에 따른 맞춤 컨설팅

채용정보 제공 및 기업연계

희망직무 상담,

진로설계 컨설팅

역량분석 및 결과제공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직무별

멘토링 운영

서류·실전면접 컨설팅

기업-구직자 매칭 지원 및 관리

최종 매칭 결과 확인 및

참여자 사후관리

- 청년취업사관학교, 서울형 청년 인턴 직무캠프 참여자 등 취업을 위한 역량·의지가 높지만 희망하는 일자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구직자 대상 집중 지원

취업준비생이 직접 기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체험형 탐방’ 제공

- 청년들이 선호하는 스타트업, 글로벌기업 등을 방문하여 기업 실무자가 제시하는 과제를 수행하며 실무 경험을 다각도로 함께 쌓을 수 있도록 지원

│종합 취업 지원 시설, ‘서울광역일자리카페’│

(청년활력소) 비대면 면접 특화 서비스(1관), 맞춤 취업 프로그램 제공(2관)

- (1관) 화상면접실(방음부스, 노트북 등) 및 영상실(자기소개 영상 제작·편집) 제공

화상면접실

영상실

- (2관) 스터디카페, 상담실 등 공간 인프라 활용 요일별 각종 프로그램 제공

구 분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프로그램

취업 특강

사진촬영·메이크업

면접 컨설팅

직무·기업분석

멘토링

내용

자기소개서,면접 등 취업스킬 교육

이력서 사진촬영, 면접 메이크업

면접예정자 대상

1:1, 그룹컨설팅

희망 직무·기업 분석

직무별 현직자 멘토링 등

스터디카페

취업상담실

청년마음건강 상담실

(청년일자리센터) 그룹 스터디룸, 취업상담, 세미나룸 등 제공

- 일자리 매칭 서비스, 인공지능(AI) 면접체험 등 각종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취업상담 코너

그룹 스터디룸

일자리 매칭 전담 창구

(강동일자리카페) 현직자멘토링 및 퍼스널 컬러진단 등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시설 전경



경제실 │ 일자리정책과 │ 대표전화 02-120
관련 정책 더보기